목록분류 전체보기 (2006)
류지세(柳志世*朗惠)TISTORY

2022년도 2018년도 2017년도 2016년도 2012년도 2012년도 2016년도 2016년도 2022년도 2022년도 2023년도
뒷모습 정호승 사람의 뒷모습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은 저녁놀이 온 마을을 물들일 때 아궁이 앞에 쭈그리고 않아 마른 솔가지를 꺾어넣거나 가끔 솔방울을 던져넣으며 군불을 때는 엄마의 뒷모습이다

文陽府院君 柳自新&蓬原府夫人 東萊鄭氏 墓 神道碑 神道碑 頭(2023-1617=416년전 篆書 원형) 神道碑 龜 作品(2023-1617=416년전) 2005~2015에는 비각이 있었으나 현재는 노출 위 挽 해설 둘도 없이 존귀한 국구로서 / 國舅尊無兩 특별한 은혜 백관 중에 뛰어났지요 / 殊恩絶百僚 빛나는 영화는 한 세대를 비추었고 / 光華映一世 총애하는 대우는 조정에서 으뜸이었지 / 寵遇極今朝 기로회에서 만났던 일 생각해 보니 / 憶作耆年會 유달리도 성은을 많이 받으셨지 / 偏承雨露饒 생사의 이별에 가슴 놀라고 / 驚心生死別 상여 줄 잡으니 넋이 스러질 듯하다오 / 執紼只魂銷 위 挽 해설 지위와 명망은 둘도 없이 높은데 / 地望尊無兩 겸허하여 항상 남에게 낮추었네 / 謙虛每下人 동향에서 일찍이 수령을 지..
[한시공방(漢詩工房)] 元月十五夜(원월십오야), 姜聲尉(강성위) [원시] 元月十五夜(원월십오야) 姜聲尉(강성위) 春風忽已着簷端(춘풍홀이착첨단) 十五夜窓開未寒(십오야창개미한) 天際月輪斜仄易(천제월륜사측이) 紅塵世上滌愁難(홍진세상척수난) [번역] 정월 대보름 밤에 봄바람이 어느덧 처마끝에 이르러 보름 밤에 창 열어도 춥지를 않네 하늘가 달이야 쉬이도 기울건만 홍진세상 시름은 씻기 어렵구나 [주석] · 元月(원월) : 정월(正月), 음력 1월. / 十五夜(십오야) : 보름밤. · 春風(춘풍) : 봄바람. / 忽已(홀이) : 어느새, 어느덧. / 着(착) : ~에 달라붙다, ~에 이르다. / 簷端(첨단) : 처마끝. · 十五夜窓(십오야창) : 보름날 밤 창문. / 開未寒(개미한) : 열어도 춥지가 않다. · 天..
[한시공방(漢詩工房)] 서시, 나희덕 문화 [원시] 서시 나희덕 단 한 사람의 가슴도 제대로 지피지 못했으면서도 무성한 연기만 내고 있는 내 마음의 군불이여 꺼지려면 아직 멀었느냐 [태헌의 한역] 序詩(서시) 到今未熱一人胸(도금미열일인흉) 蒙蒙煙氣加又加(몽몽연기가우가) 吾人心地冗火兮(오인심지용화혜) 盡熄而滅尙遠耶(진식이멸상원야) [주석] · 序詩(서시) : 책의 첫머리에 서문 대신에 쓴 시(詩)나 장시(長詩)에서 서문 비슷하게 첫머리에 별도의 장(章)을 마련하여 쓴 시(詩)를 가리킨다. · 到今(도금) : 지금까지, 지금껏. / 未熱(미열) : 아직 ~을 뜨겁게 하지 못하다, 아직 ~을 지피지 못하다. / 一人胸(일인흉) : 한 사람의 가슴. · 蒙蒙(몽몽) : 무성하다. 무성한 모양. / 煙氣(연기) ..
[한시공방(漢詩工房)] 書鏡(서경), 李彦迪(이언적) [원시] 書鏡(서경) 李彦迪(이언적) 觀書正吾心(관서정오심) 照鏡正吾貌(조경정오모) 書鏡恒在前(서경항재전) 須臾可離道(수유가리도) [주석] · 書鏡(서경) : 책과 거울. · 李彦迪(이언적) :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복고(復古), 호는 회재(晦齋)이다. 조선 시대 성리학(性理學)의 정립에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주희(朱熹)의 주리론(主理論)을 정통으로 확립하여 이황(李滉)에게 전해 주었다. · 觀書(관서) : 책을 보다. / 正吾心(정오심) : 내 마음을 바로잡다. · 照鏡(조경) : 거울에 비추다, 거울을 보다. / 正吾貌(정오모) : 내 모습을 바로잡다. · 恒(항) : 항상, 늘. / 在前(재전) : 앞에 있다. · 須臾(수유) : 잠시..
[한시공방(漢詩工房)] 연탄, 이정록 [원시] 연탄 이정록 아비란 연탄 같은 거지 숨구멍이 불구멍이지 달동네든 지하 단칸방이든 그 집, 가장 낮고 어두운 곳에서 한숨을 불길로 뿜어 올리지 헉헉대던 불구멍 탓에 아비는 쉬이 부서지지 갈 때 되면 그제야 낮달처럼 창백해지지 [태헌의 한역] 煉炭(연탄) 父親似煉炭(부친사연탄) 氣孔卽火孔(기공즉화공) 家中低暗處(가중저암처) 太息以火湧(태식이화용) 火孔太喘喘(화공태천천) 父親易碎裂(부친이쇄렬) 去時乃方始(거시내방시) 能白如晝月(능백여주월) [주석] · 煉炭(연탄) : 연탄. · 父親(부친) : 부친, 아버지. / 似煉炭(사연탄) : 연탄과 같다. · 氣孔(기공) : 기공, 숨구멍. / 卽(즉) : 곧, 곧 ~이다. / 火孔(화공) : 숨구멍. · 家中(가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