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런 저런 역사 통합 (85)
류지세(柳志世*朗惠)TISTORY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르포 光海王(光海君) 2019-05-28 17:22:19 이름 : 김용삼(dragon03@chosun.com) 月刊朝鮮 기획위원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르포 친명사대(親明事大)를 명분으로 쿠데타를 감행하여 집권한 인조는 결과적으로 광해군의 현실주의적 외교노선을 붕괴시켰다. 또 쿠데타 논공행상 과정에서의 잘못으로 이괄의 난을 초래하여 여진족(後金)의 군사행동에 대비하기 위해 배치했던 서북 방어군이 와해됨으로써 인조는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참혹한 전란을 자초했다. 조선의 군사력으로 여진족의 만주팔기 기병대와 맞서 싸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 결과 인조는 오랫동안 오랑캐라고 괄시하던 여진족 황제에게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땅에 찧는’ 치욕스런 항복을 하고 군신(君臣)관계를 맺어야 했다..
鶴山樵談 光海王(光海君) 2019-05-28 17:17:30 『학산초담(鶴山樵談)』의 내용은 어떠한가요. 이 책은 허균이 25세 때인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을 피하여 강릉에 머무를 때 쓴 책으로 시화ㆍ시평 99칙(則), 기타 9칙(則) 등 108칙으로 구성되었다. 1969년 조윤제가 소장한 편자 미상의 《패림(稗林)》을 탐구당에서 영인하면서 6집에 실려 있는 이 글이 알려지게 되었다. 1972년 성균관대학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간행된 《허균전집》에도 수록되었다. 이 책은 문(文)은 도(道)를 실어 전하는 도구(載道論)로 보는 당말ㆍ송대의 시풍을 심미론적 입장에서 비판하고, 이백ㆍ두보로 대표되는 성당(盛唐) 시대의 시풍을 회복할 것을 골간으로 하고 있다. 학당파(學唐派) 시인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3당..

광해군 14년인 1622년 광해군의 부인인 문성군부인 류씨 中殿柳氏(文城郡夫人)柳自新3女 2019-05-28 14:40:59 보물 제2004호 서울 칠보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보물 제2004호 '서울 칠보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광해군 14년인 1622년 광해군의 부인인 문성군부인 류씨가 왕족들과 친정 부모의 천도를 목적으로 발원해 왕실 원찰인 자수사와 인수사에 봉안한 11존 불상 중 하나로 추정되는 불상이다. 17세기 대표적 조각승 현진과 수연, 응원, 인균 등 당대 유명 조각승들이 합작해 만든 불상으로 조각승들의 제작 특징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작품이다. 한편 보물 제455호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는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경주 노서동 금귀걸이'는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와 더불어..
平難原從功臣 朝鮮王朝時代 聯關 자료해설 2019-05-27 13:56:58 平難原從功臣 선조(宣祖) 22년(1589)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평난원종공신(平難原從功臣)인 첨정(僉正) 유봉서(劉鳳瑞)에게 내린 녹권이다. 백색견 제첨이 첨부된 감색견 표지에 황색사로 편철된 호화장본이다. 선조 22년 10월 황해도관찰사 한준(韓準), 재령군수 박충간(朴忠侃)이 정여립이 모반한다고 고변(告變)함으로써 이들과 관련된 동인(東人)이 척결되었는데, 대부분 서인이 녹훈을 받았다. 정공신은 모두 22인으로 3등까지 녹훈되었다. 선조 23년(1590) 이들에게 교서를 내리고, 공신회맹제(功臣會盟祭)를 열어 특전을 베풀었다. 또한 원종공신도 녹훈되었는데, 본 녹권은 원종공신녹권이다. 공신은 국가와 ..
朝鮮時代 功臣 錄勳의 내용과 의미 朝鮮王朝時代 聯關 자료해설 2019-05-27 13:55:38 朝鮮時代 功臣 錄勳의 내용과 의미 목차 1. 개 관 2. 朝鮮 28功臣의 錄勳 경위와 내용 3. 功臣錄券, 謄錄의 편찬 경위와 내용 4. 功臣 會盟錄의 편찬 경위와 내용 5. 功臣 錄勳의 의미 1. 개 관 조선 왕조는 開國 이래로 중요한 정치적 사건과 전쟁, 逆謀, 民亂 등 각종 危難이 닥칠 때마다 왕실과 국가를 수호하고 患亂을 극복하는 데 큰 공적을 세운 이들을 功臣으로 策勳·기록하고 본인은 물론, 가족과 후손들에게도 다양한 特惠와 恩典을 내림으로써, 해당 功臣들의 업적을 널리 치하하고 국가와 사회의 귀감이 되도록 하였다. 太祖 李成桂가 즉위 직후에 새 왕조의 開倉 과정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을 도운 開國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