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柳得恭(28世) (17)
류지세(柳志世*朗惠)TISTORY

연구원들 참배하고 교육 설명 柳得恭(28世) 柳希聃의 後孫 2019-06-13 00:29:14 류득공 선조 연구원들 참배하고 교육 설명
이덕무(李德懋)의 행장(行狀) 柳得恭(28世) 柳希聃의 後孫 2019-05-26 10:39:49 이덕무(李德懋)의 행장(行狀)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적성현감 겸 규장각 검서관(積城縣監兼奎章閣檢書官) 형암(炯庵) 이군(李君)의 휘(諱)는 덕무(德懋)요 자(字)는 무관(懋官)으로, 후릉(厚陵)의 별자(別子) 무림군(茂林君) 시(諡) 소이공(昭夷公) 선생(善生)의 후예이다. 증 호조참판 사헌부감찰(贈戶曹參判司憲府監察) 정형(廷衡)은 고조가 되고, 통덕랑(通德郞) 상함(尙馠)은 증조가 되고, 강계도호부사(江界都護府使) 필익(必益)은 조부가 되고, 통덕랑 성호(聖浩)는 아버지가 된다. 어머니 박씨(朴氏)는 관향이 반남(潘南)인데 현감(縣監) 사렴( 師濂)의 딸이요, 금평위(錦平尉)로서 시호가 효정공(孝靖公..

성균관 대학교 600주년관 고서 번역 연구원(김세호)일행 류득공 선생 참배하다. 柳得恭(28世) 柳希聃의 後孫 2019-05-14 15:35:01
철제동상감담배합 柳得恭(28世) 柳希聃의 後孫 2013-11-27 17:21:47 한국(韓國) 조선(朝鮮) 높이:5.8cm / 가로:6.1cm / 세로:10cm 담배를 담는 용기이다. 담배의 기원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에 임진왜란을 전후한 16세기 말 또는 17세기 초경 일본 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되며, `담배`라는 명칭도 타바코(タバコ)라는 일본말에서 유래되었다. 담배가 처음 전래 되었을 때에는 약재로만 인식되었으나, 점차 기호품으로 애용되어 손님을 접대할 때 차나 술 대신 담배를 권하는 풍습이 생기면서 연다(煙茶) 또는 연주(煙酒)로 불리기도 하였다. 담배를 피우기 위해서는 담배 자체뿐 아니라 담 뱃대를 비롯하여 담배합, 재떨이, 부싯돌, 담뱃대, 담뱃대걸이, 담배주머니(쌈지) 등의 도구들이 필요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