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지세(柳志世*朗惠)TISTORY
한시감상239] 한 잔 술이 필요한 순간 본문
한시감상239] 한 잔 술이 필요한 순간
새창으로 읽기
이메일주소 펼치기
보낸사람
한국고전번역원 <gojeon@itkc.or.kr> 23.01.18 08:00 주소추가수신차단
모바일 전용
한국고전번역원
공유하기
고전산책 다른 글 보러가기
한시감상
2023년 1월 18일 (수)
이백서른아홉 번째 이야기
한 잔 술이 필요한 순간
술 생각 잊기 어려운 순간이 언제인가
남쪽 하늘에 비바람 몰아치는 날이지
잠시뿐이었구나 멀어진 저 꿈은
허무하구나 내 한평생이
울적하여 흉금을 터놓기도 고달프고
침통하여 자주 무릎을 끌어안고 한숨 쉬네
이때 술 한 잔이 없다면
흰머리가 그대로 생겨버릴 것
何處難忘酒 하처난망주
蠻天風雨辰 만천풍우진
浮休萬里夢 부휴만리몽
寂寞百年身 적막백년신
鬱鬱披襟倦 울울피금권
沈沈抱膝頻 침침포슬빈
此時無一盞 차시무일잔
華髮坐來新 화발좌신래
- 이행(李荇, 1478~1534), 『용재집(容齋集)』 6권, 「해도록(海島錄)」
해설
이 시의 제목은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로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가 원조이다. 백거이는 술이 꼭 필요한 인생의 일곱 가지 순간을 포착하여 7수의 시를 지었는데, “술 생각 잊기 어려운 순간이 언제인가[何處難忘酒]”로 시작하여 마지막에 “이때 술 한 잔이 없다면[此時無一盞]~”으로 맺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 시대 문인들이 더러 이 시의 제목과 체제를 본떠 시를 지었다. 그중에서 이행의 시를 소개해 본다. ‘용재(容齋)’라는 호로 잘 알려진 그는 우리 문학사에서 한시 대가로 손꼽히는 분이다. 소개한 시는 거제도 유배 살이 때 지은 시를 모은 「해도록(海島錄)」에 실려 있다.
이행은 어째서 유배를 떠났던가. 1495년(연산군1)에 과거 합격하여 관로에 들어선 후, 1504년에는 사간원 헌납을 거쳐 홍문관 응교가 된다. 이 해 논란이 된 사건이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를 왕후로 추숭하자는 논의이다. 윤씨는 성종 때 여러 사건으로 인해 폐서인(廢庶人)되었는데, 연산군은 등극 후 왕후로 추숭하려고 했고 모친의 원통함과 관련된 이들을 탄압했다. 이른바 갑자사화(甲子士禍)라는 사건이다. 당시 이행은 왕에게 간언하는 홍문관 관원으로서 윤씨의 추숭에 반대하다 연산군의 노여움을 사 유배에 오르게 된다.
그 유배길은 어떠했던가. 갑자년(1504년) 4월 장형(杖刑)을 맞고 충주로 유배되었고, 그해 6월 벗인 박은(朴誾)이 참수를 당하자 박은과 친하다는 이유로 또 장형을 받고 노역에 충원되었다. 9월에는 거의 죽을 때까지 모진 고문을 받았고, 12월에는 다행히 사형을 면하였지만, 또 장형을 맞고 함안군의 관노로 배속되었다. 1505년 가을에는 익명서(匿名書)로 인해 또 옥사가 일어나 고문을 받으며 겨울을 보냈고, 이듬해인 1506년 거제도로 이배(移配), 그해 2월에 거제에 도착해 위리안치되었다. 거제에 도달했을 때가 그의 나이 29세였다. 젊은 나이지만 누차 장을 맞고 고문을 당하며 배소를 옮겨 다녔으니 살아 있는 것이 기적이었다.
그때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엘리트가 거친다는 홍문관 관원에서 한순간 죄인으로 전락하여 남쪽 끝으로 쫓겨난 처지, 장형과 고문을 또 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기약 없는 유배지에서의 막연함. 이 모든 것이 그를 괴롭게 했을 것이다. 어느 날 비바람과 함께 절망과 좌절이 엄습하자 그는 한 잔 술로 이를 이겨내려 하였다. 그에게 음주란 곧 절망적 상황에서 삶을 부지하려는 생의 노력이었다. 그렇기에 이 시의 ‘何處難忘酒’를 “도저히 술이 없으면 안 되는 순간”이라 번역해도 무방하리라.
이후에 이행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해 가을 서울로 압송하여 죽을 때까지 곤장을 치라는 명이 내려와 상경하는 도중 기적적으로 중종반정이 일어나 사면되었다. 이후 다시 조정에 나아가 여러 벼슬을 지내며 우의정까지 올랐다. 그러나 1531년(중종27)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다가 그의 일당에게 도리어 탄핵을 받아 1532년 평안도 함종으로 유배 갔다가 2년 뒤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글쓴이김준섭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
위의 고전산책 내용에 대하여 의견/소감/문의 사항이 있으면 받은 메일의 '답장' 기능을 이용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원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및 ‘메일링 서비스 신청하기’ 메뉴를 통하여 신청한 분은 모두 고전산책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메일링서비스 신청하기 바로가기]
고전산책을 개인 블로그 등에 전재할 경우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메일링서비스의 수신을 원하지 않으면 해지하실 수 있습니다. [해지하기 바로가기]
한국고전번역원한국고전종합DB한국고전자문서비스고전번역교육원
(03310)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1로 85 한국고전번역원 기획처 대외협력팀
Tel : 02-350-4909, E-mail : gojeon@itkc.or.kr
'한국고전번역원 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시감상238] 그때는 몰랐네, 예지몽의 시구를 (2) | 2023.02.21 |
---|---|
[고전산문560] 숲멍하는 시간 (0) | 2023.02.21 |
[고전명구 391] 보다 공평한 사회를 꿈꾸며 (0) | 2023.02.19 |
[한시감상 240] 설날 아침에 (0) | 2023.02.19 |
가뭄과 형옥(刑獄)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