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류지세(柳志世*朗惠)TISTORY
허균의 시평(鶴山樵談) 본문
허균의 시평(鶴山樵談)
朝鮮王朝時代 聯關 자료해설
2019-05-27 12:52:09
허균의 시평(鶴山樵談)
조선 중기 문신 허균(許筠)의 시평서(詩評書). 허균이 25세 때인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을 피하여 강릉(江陵)에 머무를 때 쓴 책으로 시화·시평 99칙(則), 기타 9칙(則) 등 108칙으로 구성되었다. 학당파(學唐派)시인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3당시인(三唐詩人)인 최경창(崔慶昌)·백광훈(白光勳)·이달(李達) 18칙, 허봉 25칙, 허난설헌(許蘭雪軒) 6칙, 노수신(盧守愼)·정사룡(鄭士龍)·황정욱(黃廷彧) 5칙, 이주(李胄)·김정(金淨)·백대붕(白大鵬)에 이르는 당시풍(唐詩風) 시인들과 기녀·서얼 등의 시도 평하고 있다. 중국시학의 흐름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당시를 높이 평가해 이를 기준으로 시의 우열을 비교하는 방법을 택하여 성당(盛唐)의 시풍을 최고 전범(典範)으로 삼았다. 조선시학의 흐름도 송(宋)시풍에서 당시풍으로의 전환에 주목하고, 당시를 확산, 보급시킨 노수신·정사룡·황정욱을 높이 평가하였다. 제왕문장(帝王文章)에 대하여도 언급하고, 환골탈태(煥骨奪胎)에 대하여 말하기를 <문장이 전인(前人)들의 경지에 이르더라도 시정신이 없으면 바른 환골탈태라 할 수 없다>고 하여 수사적 표현기교와 함께 시정신을 중시하였다. 《패림(稗林)》 6집에 실려 《패림》 소장자 조윤제(趙潤濟)에 의하여 세상에 알려져 학계의 관심을 모았다. 1책. 필사본.
'이런 저런 역사 통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필의 궁류시 (0) | 2023.04.02 |
---|---|
柳永慶 사사 (0) | 2023.04.02 |
鄭澈(松江) (0) | 2023.04.01 |
광국공신과 광국원종공신----종계변무(宗系辨誣) (0) | 2023.04.01 |
許蘭雪軒(楚姬)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