柳希奮(21世)柳自新의 3子
柳希奮
柳希奮(21世)柳自新의 3子
2013-10-20 13:27:04
과거 및 취재 류희분(柳希奮) 상세정보 자료수정내역 [ 원문이미지보기 ] .[문과]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丁酉) 별시(別試) 병과(丙科) 7위(13/19)[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D76CBD84B1564X0
자 형백(亨伯)
호 화남(華南)
생년 갑자(甲子) 1564년(명종 19)
합격연령 34세
본관 문화(文化)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사전
[생원시]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5위(55/100)
[진사시]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42위(72/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9명
전력 현감(縣監)
관직 병조판서(兵曹判書)
관직 문창부원군(文昌府院君)
타과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진사(進士) 3등(三等)
[가족사항]
[부]
성명 : 류자신(柳自新)
[조부]
성명 : 류잠(柳潛)
[증조부]
성명 : 류수천(柳壽千)
[외조부]
성명 : 정유길(鄭惟吉)
본관 : 동래(東萊)
[처부]
성명 : 성질(成礩)
[가과:제]
성명 : 류희발(柳希發)
[가과:자]
성명 : 류명립(柳命立)
[출전]
****************************************************************************
류희분(柳希奮) 상세정보 자료수정내역 [ 원문이미지보기 ] .[진사시]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42위(72/100)[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20D76CBD84B1564X0
자 형백(亨伯)(주1) 자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자를 추가.
호 화남(華南)(주2) 호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생년 갑자(甲子)(주3) 생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1564년(명종 19)
합격연령 27세
본관 문화(文化)(주4) 본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문화(文化)로 추가.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사전] 인물 사전
[문과]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丁酉) 별시(別試) 병과(丙科) 7위(13/19)
[생원시] 선조(宣祖) 23년(1590) 경인(庚寅)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5위(55/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100명
타과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丁酉) 별시(別試) 병과(丙科)
기타 양시(兩試)
[가족사항]
[부]
성명 : 류자신(柳自新)(주5) 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를 추가.
[처부]
성명 : 성질(成礩)(주6) 처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주 1] 자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자를 추가.
[주 2] 호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주 3] 생년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생년을 추가.
[주 4] 본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본관을 문화(文化)로 추가.
[주 5] 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를 추가.
[주 6] 처부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처부를 추가.
[출전]


「경인사마(庚寅司馬)」(『해옹시문집(海翁詩文集)』,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2140])